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돌프 티에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돌프 티에르는 1797년 마르세유에서 사생아로 태어나, 언론인, 역사가, 정치가로 활동하며 프랑스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820년대 『프랑스 혁명사』를 저술하여 명성을 얻었고, 1830년 7월 혁명에 참여하여 루이 필리프 1세의 즉위를 도왔다. 7월 왕정 하에서 여러 요직을 역임했으며, 1848년 제2공화국 수립 후에는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지지했다. 보불전쟁 중에는 국민 방위 정부 특사로 활동했고, 1871년 프랑스 제3공화국 행정수반으로 선출되어 파리 코뮌을 진압하고 독일과의 강화 조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독일 배상금을 지불하고 영토를 회복했으며, 1873년 사임 후에도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티에르는 뛰어난 언변과 정치적 수완으로 평가받지만, 파리 코뮌 강경 진압과 같은 정책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그는 프랑스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서는 오늘날까지도 프랑스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를레앙파 - 쥘 뒤포르
    쥘 뒤포르는 프랑스 제3공화국 초기에 총리를 지낸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웅변과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장관직을 거쳐 온건 공화파로서 활동하며 정치적 안정과 배심원 제도 법 통과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오를레앙파 - 카지미르 페리에
    카지미르 페리에는 프랑스 7월 왕정 시대의 은행가, 사업가, 정치가로서 페리에 프레르 은행 설립과 안쟁 석탄 회사 혁신을 통해 프랑스 산업혁명에 기여했으며, 하원 의원을 거쳐 총리를 역임하며 프랑스의 시민 질서 회복과 위상 재건에 공헌했다.
  • 프랑스의 국가원수 - 샤를 드골
    샤를 드골은 프랑스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운동을 이끌고 전후 제5공화국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프랑스 해방과 재건에 기여했으나, 독단적인 성격과 국수주의적 경향으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 프랑스의 국가원수 - 폴 레노
    폴 레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대의원으로 활동하며 독일 배상금 문제에 관여했고, 세계 대공황 시기에는 영국과의 동맹을 지지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독일의 침공으로 사임하고 수감되었다가 해방된 후 유럽 연합 구성을 지지했다.
  • 안도라의 군주 - 에마뉘엘 마크롱
    에마뉘엘 마크롱은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앙 마르슈!(En Marche!)"를 창당하여 중도주의 정책을 표방하며 2017년과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프랑스의 현직 대통령이다.
  • 안도라의 군주 - 샤를 드골
    샤를 드골은 프랑스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운동을 이끌고 전후 제5공화국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프랑스 해방과 재건에 기여했으나, 독단적인 성격과 국수주의적 경향으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아돌프 티에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돌프 티에르 초상화
1870년대 나다르 촬영 초상화
서명Adolphe THIERS autograph.svg
이름마리 조제프 루이 아돌프 티에르
출생일1797년 4월 15일
출생지마르세유, 프랑스 제1공화국
사망일1877년 9월 3일
사망지생제르맹앙레, 프랑스 제3공화국
안장 장소페르 라셰즈 묘지
프랑스어 표기Louis Adolphe Thiers
정치 경력
소속 정당저항당 (1831–1836)
운동당 (1836–1848)
질서당 (1848–1852)
(1852–1870)
무소속 (1870–1873)
온건 공화파 (1873–1877)
프랑스 대통령
직책프랑스 대통령
임기 시작1871년 8월 31일
임기 종료1873년 5월 24일
이전 대통령나폴레옹 3세 (프랑스 황제로서)
다음 대통령파트리스 드 마크마옹
총리쥘 뒤포르
프랑스 총리
직책프랑스 총리
첫 번째 임기 시작1836년 2월 22일
첫 번째 임기 종료1836년 9월 6일
두 번째 임기 시작1840년 3월 1일
두 번째 임기 종료1840년 10월 29일
군주루이 필리프 1세
이전 총리 (첫 번째 임기)빅토르 드 브로이
다음 총리 (첫 번째 임기)루이-마티외 몰레
이전 총리 (두 번째 임기)장드디외 술트
다음 총리 (두 번째 임기)장드디외 술트
외무장관
직책외무부 장관
첫 번째 임기 시작1836년 2월 22일
첫 번째 임기 종료1836년 9월 6일
두 번째 임기 시작1840년 3월 1일
두 번째 임기 종료1840년 10월 29일
총리 (첫 번째 임기)자신
이전 외무장관 (첫 번째 임기)빅토르 드 브로이
다음 외무장관 (첫 번째 임기)루이-마티외 몰레
총리 (두 번째 임기)자신
이전 외무장관 (두 번째 임기)장드디외 술트
다음 외무장관 (두 번째 임기)프랑수아 기조

2. 초기 생애 및 언론 활동

마르세유 근교 부크벨레르(Bouc-Bel-Air)에서 태어난 티에르는 엑스 마르세유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14] 변호사 자격을 얻었으나 법조계보다는 문필 활동에 더 큰 관심을 가졌다.[14] 1821년 가을 파리로 이주하여 자유주의 성향의 신문 《르 콩스티튀시오넬(Le Constitutionnel)》에 기고하며 언론인 생활을 시작했다.[14]

티에르는 부르봉 왕가의 독재 정치를 비판한 역사서인 『프랑스 혁명사』(1823년-1827년, 총 10권)를 저술하여 큰 명성을 얻었다.[14] 이 책은 프랑스 혁명의 원칙과 업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왕정, 귀족, 성직자의 경직성을 비판하여, 7월 혁명에 영향을 주었다.[14]

1830년에는 아르망 카렐, 프랑수아 미녜 등과 함께 새 신문 《르 나시오날》을 창간하여 정부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14]

3. 7월 왕정 시대 (1830-1848)

티에르는 1830년 7월 혁명 당시 샤를 10세를 축출하고 오를레앙가 출신의 루이 필리프 1세를 옹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7월 왕정 하에서 그는 재무부 차관, 내무부 장관, 총리 등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1] 1832년 6월 폭동 이후에는 내무부 장관에 임명되었고,[14] 1836년에는 총리 겸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14]

1834년에는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4] 그는 프랑수아 기조와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관계였다.[1]

4. 제2공화정 시대 (1848-1852)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으로 오를레앙 왕조가 붕괴된 후, 티에르는 제2공화국을 지지했다.[18] 제2공화국에서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나, 1851년 12월 2일 루이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체포되어[18] 추방되었다. 1852년 나폴레옹 3세의 허락으로 프랑스에 귀국한 후에는 정치 활동을 자제하고 『집정정부와 제국의 역사』 집필에 전념했다.[14]

5. 제2제정 시대 (1852-1870)

1863년, 나폴레옹 3세가 정치적 반대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기 시작하면서, 티에르는 정계에 복귀했다. 그는 친구들과 파리 주재 프로이센 대사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권유로 의회 선거에 출마하여, 1863년 5월 31일 파리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14]

티에르는 의회에 복귀하여 나폴레옹 3세의 제2제정에 반대하는 야당 지도자로 활동했다. 그는 정부의 외교 정책을 비판하고, 프랑스의 위신 회복을 주장했다. 특히, 1864년 1월 11일 연설에서 그는 "개인이나 권력의 자의적인 사용으로부터 시민의 안전, 언론의 자유, 자유로운 선거, 국민 대표의 자유"를 포함한 "필요한 자유"가 프랑스에 부족하다고 주장했다.[14]

티에르는 프로이센의 부상과 독일 통일 움직임에 대해 경고하며 프랑스의 안보를 우려했다. 1866년 5월 3일,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사이에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보이자, 그는 의회에서 "만약 프로이센이 성공한다면, 우리는 새로운 독일 제국의 탄생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도바 전투에서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를 압도적으로 패배시킨 후, 티에르는 "사도바에서 패배한 것은 프랑스였다"고 선언했다.[14]

경제 정책에 있어서 티에르는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프랑스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무역주의를 옹호했으며, 조르주 외젠 오스만 남작의 파리 재건 사업의 높은 비용을 비난했다. 1869년 선거에서 티에르는 공화당원 갬베타에게 마르세유 의석을 잃었지만, 파리 의석은 유지했다. 1870년 5월 8일, 나폴레옹 3세의 정책에 대한 국민투표 결과는 프랑스 지방에서 황제의 인기를 확인시켜 주었지만, 파리에서는 그의 인기가 없음을 보여주었다.[14]

6. 보불전쟁과 제3공화국 (1870-1877)

티에르는 보불전쟁 개전 이전부터 전쟁에 반대했다.[19] 나폴레옹 3세프로이센에 패배한 후, 국민 방위 정부의 특사로 임명되어 외국의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를 순방했지만, 이들 국가는 중립을 지켰다.

1870~1871년 임시정부; 중앙에 티에르, 맨 오른쪽에 갬베타


티에르는 프로이센의 오토 폰 비스마르크 총리와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 비스마르크는 알자스로렌독일 제국에 할양하고 거액의 배상금을 지불할 것을 요구했다. 티에르는 파리로 돌아와 정부에 이 제안을 수락하고 전쟁을 끝낼 것을 촉구했으나, 정부는 항전을 결의했다.

결국 프랑스는 전쟁에서 패배하고, 1871년 2월에 실시된 선거에서 티에르는 26개 지역구에서 당선되며 국민적 지지를 확인받았다. 그는 파리 의석을 선택했고, 곧이어 국민의회에서 행정 수반으로 선출되었다.

6. 1. 행정 수반 및 파리 코뮌 진압

티에르는 1871년 2월, 프랑스 제3공화국의 행정 수반으로 선출되었다.[19] 그는 프로이센과의 강화 조약을 체결했는데, 알자스로렌독일 제국에 할양하고 50억 프랑의 전쟁 배상금을 지불하며, 독일군의 파리 입성을 허용하는 등 불리한 조건이었다.[20] 시민들은 분노했지만, 티에르는 평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왕당파가 의회를 장악하고 왕정복고를 추진하며, 파리 시민 의용대인 국민방위대를 해체하고 대포를 압수하려 하자, 파리 시민들은 파리 코뮌을 수립하고 티에르 정부에 맞섰다.[20] 티에르는 베르사유를 임시 수도로 정하고, 1871년 5월 21일부터 일주일간 파리 코뮌과 전투를 벌여 파리를 탈환했다.[21]

티에르는 파리 코뮌을 강경하게 진압하여 질서를 회복했다. 그는 1848년 혁명 당시 루이 필리프에게 제안했던 계획대로 정규군을 베르사유로 철수시켜 병력을 집결한 후 파리를 재탈환했다. 파리 코뮌은 1871년 3월 26일에 급진적인 공화파와 사회주의자들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리옹, 마르세유 등 다른 도시에서도 유사한 코뮌이 선포되었지만 곧 진압되었다.

1871년 4월 초부터 파리 인근에서 군대와 코뮌 군인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코뮌은 파리 대주교 조르주 다르부이를 포함한 인질을 잡고, 혁명 지도자 루이 블랑키와의 교환을 제안했지만, 티에르는 "살인자들과 협상하지 않겠다"라며 거부했다. 5월 21일, 프랑스군은 파리에 진입하여 5월 28일까지 코뮌을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코뮌은 정부 건물에 불을 지르기도 했다.[21]

코뮌 진압 후, 티에르는 독일과의 전쟁 배상금 지불과 프랑스 영토 회복에 주력했다. 그는 프랑스 은행과 런던의 모건 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빌리고 채권을 발행하여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다. 1871년 7월, 티에르는 독일에게 첫 번째 분할금 을 지불하고, 독일군은 프랑스 영토 일부에서 철수했다.

6. 2. 초대 대통령

1871년 8월 31일, 아돌프 티에르는 프랑스 제3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16] 그는 두 차례에 걸쳐 공채를 발행하여 전쟁 배상금을 모두 지불하였고, 그 결과 1873년 9월에 마지막 독일군이 프랑스에서 퇴각하도록 만들었다.[16]

1871년 7월 보궐선거에서 공화파가 크게 약진하자,[22] 1872년 11월에 티에르는 보수적인 공화정을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며 왕당파와 결별하였다.[16] 1873년 5월, 왕당파가 제출한 불신임안이 의회에서 통과되면서 티에르는 대통령직에서 사임하였다.[23]

티에르는 뛰어난 재정 실적을 보였지만, 불안정한 정치적 입지에 놓여 있었다. 프랑스는 주로 농촌 지역이었고, 종교적이며 보수적이었으며, 의회 또한 이를 반영했다. 의회 의원 대다수는 어떤 형태의 입헌 군주제를 지지했지만, 부르봉 왕가 출신의 왕을 원하는 세력과 루이 필리프의 후손을 원하는 오를레앙파, 그리고 나폴레옹 3세의 후손을 왕위에 앉히려는 세력으로 나뉘어 있었다.

1871년 6월, 티에르의 의사에 반해 의회는 부르봉가와 오를레앙가의 망명 가족의 프랑스 귀환을 허용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부르봉 왕위 계승자인 앙리, 샹보르 백작은 앙리 5세로서 프랑스를 통치할 의사를 표명했지만, 부르봉 왕가의 흰 깃발로 프랑스 삼색기를 대체하겠다고 선언하면서 많은 지지를 잃었다. 티에르는 세 왕조가 모두 왕위를 주장하는 상황에서 입헌 군주제를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항의했다. 레옹 강베타를 포함한 의회 내 공화주의자들은 공화국 수호자로서 티에르를 지지했다.

샹보르 백작의 등장은 티에르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정치적 위기를 초래했다. 1871년 8월 30일, 의회는 티에르의 직함을 집행권 수반에서 국민의회의 권한 하에 있는 공화국 대통령으로 변경했다. 이는 놀라운 정치적 성과였으며, 제3공화국은 반공화주의적 군주주의자들의 투표로 탄생했다.

티에르는 강력하고 보수적인 공화국을 신속하게 수립하기 위해 움직였다. 그의 최우선 과제는 프랑스 동부와 북부의 독일 점령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었다. 1871년 9월 말, 을 지불한 후 6개 주가 해방되었지만, 부채를 완전히 상환할 때까지 12개 주가 여전히 점령되었다.

의회 내에서 공화주의자들은 입헌 군주주의자들을 희생시키면서 세력을 얻고 있었지만, 여러 파벌로 나뉘어 있었다. 티에르는 대개 온건 공화주의자들 사이에 있었던 반면 레옹 강베타는 극좌를 이끌었다. 우파는 오를레앙파와 부르봉 왕가를 지지하는 세력 등으로 나뉘어 매우 불안정한 혼합 상태였다. 티에르는 대통령 초기 "일반적으로 국가는 현명하지만 정당은 그렇지 않다."라고 선언했다.

1872년 1월, 국민의회의 부분 선거에서 빅토르 위고는 티에르가 지지하는 온건 공화주의자에 맞서 급진적 공화주의자로 출마했으나 패배했다. 티에르는 제안된 소득세에 반대함으로써 중산층과 사업가들의 지지를 더 얻었다. 그는 프랑스 산업을 자유 무역과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를 원하는 보호무역주의자였으나, 의회는 수입품 관세를 인하하는 투표를 했다. 티에르는 사임을 제안했지만 의회에 의해 거부되었다. 그는 프랑스 남성에게 5년간의 의무 복무를 요구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1873년 티에르의 주요 목표는 독일에게 빚을 갚고 독일이 점령한 마지막 프랑스 영토를 해방하는 것이었다. 그는 유럽의 주요 은행들과 합의를 맺고 채권을 발행하여 1873년 3월 15일 독일과 새로운 협약에 서명, 독일이 1873년 7월까지 마지막 4개 프랑스 주에서 철수하도록 했다. 국민의회는 예정보다 앞서 프랑스 영토를 해방시킨 것에 대해 티에르에게 감사하는 특별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브로이 공작은 티에르를 실각시킬 방법을 준비했다. 그는 의회 규정을 변경하여 대통령에게 거부권을 부여했지만, 대통령이 의회에 연설하기 전에 의회 의장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조항도 추가했다.

6. 3. 대통령 임기 이후

티에르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하원의원으로 계속 활동했다.[1] 1875년에는 왈롱 개정안에 투표하여 프랑스 제3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1] 이 개정안은 상원, 하원, 대통령이라는 세 개의 축을 기반으로 하는 공화국 체제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876년, 티에르는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하원의원으로 남기를 원하여 사임했다.[1] 그는 파리 출신 의원으로 의회에 계속 참석하며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4]

앙드레 아돌프 외젠 디스데리(Disdéri)가 촬영한 아돌프 티에르 사진,

7. 말년과 사망

티에르는 야당에서 공화주의자들과 함께 선거 유세를 하며 1876년 선거 승리를 이끌었다.[14] 1877년 9월 3일, 80세의 나이로 생제르맹앙레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14]

1877년 9월 4일 사후 초상화


1877년 9월 15일 티에르의 장례 행렬


9월 8일에 치러진 티에르의 장례식은 국가적, 정치적 사건이었다. 마크마옹 대통령은 국장을 조직하고 직접 관을 따라가려 했으나, 티에르 부인은 왕당파의 참여를 원치 않아 거부했다. 대신 군사 의례를 통해 매장되었으며, 보병 3개 대대, 기병 1개 중대, 포병 1개 포대가 행렬에 동행했다. 파리의 상점들은 문을 닫았고 건물들은 검은 천으로 덮였다. 페르 라셰즈 묘지로 향하는 행렬은 티에르와 함께 정부에 반대하여 투표했던 363명의 공화당 의원들이 이끌었으며, 레옹 강베타빅토르 위고가 선두에 섰다.[14]

역사가 쥘 페리는 장례 행렬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르 펠레티에 거리에서 페르 라셰즈까지, 백만 명의 사람들이 행렬의 길을 따라 군중 속에 갇혀 있었고, 일어서서 모자를 벗고, 프랑스 전역에서 운반된 수많은 꽃으로 덮인 관에 경례를 했다. 군중은 대로 양쪽에서 무덤처럼, 단호하게, 엄청난 하나의 울부짖는 소리를 질렀다: 공화국 만세!"[14]

8. 저서


  • Histoir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프랑스 혁명사|프랑스어 (1823-27, 총 10권)
  • Histoire du Consulat et l'Empire faisant suite à l'Histoir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프랑스 혁명사의 후속편, 집정정부와 제국의 역사|프랑스어 (1845-62)
  • De la Propriété|부동산에 관하여|프랑스어 (1848, 재판: 2011)
  • Discours parlementaires (1830-1877), publiés par M. Calmon|의회 연설 (1830-1877), 칼몽 출판|프랑스어 (1879-1883, 총 15권)
  • Notes et souvenirs de M. Thiers. 1848. Révolution du 24 février|티에르 씨의 메모와 회고. 1848년. 2월 24일의 혁명|프랑스어 (1902)
  • Notes et Souvenirs - Voyage diplomatique. Proposition d'un Armistice. - Préliminaires de la Paix. Présidence de la République|메모와 회고 - 외교 기행. 휴전 제안. - 평화 교섭. 프랑스 대통령|프랑스어 (1903)


티에르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에 대한 역사서를 집필하여 문학적 명성을 얻었다. 『프랑스 혁명사』(1823-1827)는 혁명의 원칙과 업적을 옹호하고 왕정, 귀족, 성직자의 무능을 비판하여 대중의 지지를 얻었고, 1830년 7월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집정정부와 제국의 역사』(1845-1862)는 방대한 분량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대중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9. 평가와 유산

티에르는 뛰어난 언변과 정치적 수완을 가진 정치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프랑스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에 국가를 이끌며, 혼란을 수습하고 질서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14] 그의 보호무역주의 정책과 파리 코뮌 강경 진압은 비판을 받기도 한다.[14] 그는 프랑스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서는 오늘날까지도 프랑스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이름을 딴 거리와 광장, 학교 등이 프랑스 여러 도시에 남아있다.

칼 마르크스는 티에르가 프랑스 정부 수반이었을 때 파리를 떠나야만 했기에, 그를 "괴물 같은 난쟁이"라고 묘사하며 가장 격렬하게 비판했다.[10] 빅토르 위고는 처음에는 티에르를 극찬했지만, 나중에는 티에르에게 정치적으로 패배한 후, 그를 "평범한 작가, 좁고 작은 마음을 가진 그 사람"이라고 폄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고는 레옹 갬베타와 함께 티에르의 장례식 행렬을 이끌었다.

귀스타브 플로베르는 티에르의 장례식에 나타난 거대한 인파에 대해 "이 부르주아의 왕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 그는 하나의 큰 미덕, 즉 애국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보다 프랑스를 더 잘 요약한 사람은 없었다."라고 썼다. 또 다른 역사가 막심 뒤 캉프는 "그는 프랑스를 열정적으로 사랑했기 때문에 계속 존경받았다."라고 평가했다.

오노레 드 발자크의 『인간희극』 주인공 중 한 명인 외젠 드 라스티냐크는 티에르를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스티냐크의 빈곤에서 금융과 정치적 성공으로의 급속한 상승과 그의 특이한 가정사는 티에르의 삶과 유사하다.

역사가 조지 세인츠베리는 티에르에 대해 "그의 조국인 프랑스의 공격적이고 쇼비니즘적인 정신을 자극하는 그의 끊임없는 경향"은 비판했지만, "위대한 재앙 속에서 그들의 조국이 의지했고, 그 재앙을 극복하는 데 끈기, 용기, 헌신, 기술을 보여주었"던 정치가로 평가했다.

1968년 5월 파리 학생-노동자 봉기 이후, 그리고 1980년대와 1990년대 사회주의자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티에르의 명성은 최저점에 달했다. 새로운 정부는 파리 코뮌의 혁명 지도자들을 위해 파리의 여러 거리, 광장, 지하철역의 이름을 바꾸었고, 좌파 역사가들은 티에르를 사회 문제에 대한 무관심과 특히 코뮌 진압에 대해 비난했다.

1983년 역사가 르네 드 라 크루아 드 카스트리는 티에르를 "본질적으로 야심찬 사람이자 이기주의자"라고 평가하면서도, "독일 점령을 종식시키고 굴욕당한 프랑스에 다시 살고자 하는 욕망을 심어준 영광"이 있다고 평가했다.

역사가 피에르 기랄은 1986년 "아돌프 티에르, 또는 정치에서의 필요성"에서 "그는 창립자였고, 프랑스의 워싱턴이었으며, 약점으로 가득 찬 인물이었지만 논쟁의 여지가 없는 애국자였다... 그는 프랑스에서 프로이센인들을 축출했다."라고 평가했다.

앙투안 메르시에의 생제르맹앙레 조각상 (1900년경)


파리 주변의 티에르 성벽 흔적, 포테른데푸플리에


파리 생조르주 광장에 재건된 티에르 호텔은 그가 사망한 후 프랑스 학사원의 일부인 도즈느-티에르 재단의 본부가 되었다. 이곳에는 그의 서재, 기록 보관소 및 개인 소장품이 보관되어 있다. 티에르는 앵발리드에 나폴레옹의 묘를 건설하고, 방돔 광장의 기둥과 개선문을 완공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파리 주변에 티에르 성벽으로 알려진 요새화된 고리를 건설했으며, 그 흔적은 아직도 일부 볼 수 있다.

파리 16구에는 티에르의 이름을 딴 작은 거리와 광장이 있다. 보르도, 낭시, 투르, 퐁텐블로 등 여러 프랑스 도시에도 티에르의 이름을 딴 거리와 광장이 있으며, 마르세유에는 티에르 리세(고등학교)가 있다.

참조

[1] 서적 Making the Revolution History: Adolphe Thiers, 1823–73
[2] 서적 Thiers Payot 1932
[3] 서적 Les ministres des Finances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au Second Empire : dictionnaire biographique 1814–1848 https://books.opened[...] Institut de la gestion publique et du développement économique 2023-01-15
[4] 서적 Monsieur Thiers
[5] 서적 France 1814–1914 Longman
[6] 서적 Three studies in European conservatism: Metternich, Guizot, the Catholic church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Frank Cass
[7] 서적 The Life of Louis Adolphe Thiers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8] 서적 Thiers' La Campagne de Waterloo
[9] 서적 War and Peace: With bonus material from Give War and Peace A Chance by Andrew D. Kaufman
[10] 위키소스 The Civil War in France Edward Truelove for the General Council of the International Workingmen's Association 1871
[11] 웹사이트 From the French Wikipedia
[12]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T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6-09-23
[13] 웹사이트 チエール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0-06-30
[14] 백과사전 Thiers, Louis Adolphe
[15] 기타
[16]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7] 서적 혁명과 반동의 프랑스사 개마고원 2001-03-15
[18]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9] 서적 프랑스사 기린원 1998-11-10
[20]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21]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22] 서적 프랑스사 기린원 1998-11-10
[23] 서적 프랑스사 기린원 1998-11-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